안녕하세요, 이과남편입니다.
오늘은 코스피, 코스피 지수에 대해 함께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코스피란 국내 종합주가지수입니다.
이는 유가증권시장본부(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주식 가격을 종합적으로 표시한 수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코스피는 시장 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며, 투자 성과 측정, 다른 금융상품과의 수익률 비교 척도, 경제 상황 예측지표로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증권거래소는 1964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미국의 다우 존스식 주가평균을 지수화한 수정주가 평균 지수를 산출하여 발표하였습니다.

증권거래소는 점차 시작 규모가 확대되어 감에 따라 1972년 1월 4일부터는 지수의 채용 종목을 늘리고 기준시점을 변경한 한국 종합 주가지수를 발표하였습니다.
KOSPI 산출은 1980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그날의 시가총액을 100, 비교시점을 100으로 하여 비교시점의 시가 총액을 지수화하여 산출됩니다.

코스피지수란 증권 시장에 상장된 상장기업의 주식 변동을 기준시점과 비교시점을 비교하여 작성한 지표입니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의 증권시장지표 중에서 주식의 전반적인 동향을 가장 잘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입니다.

코스피지수는 시장 전체의 주가 움직임을 측정하는 지표로 이용되며, 투자 성과 측정, 다른 금융상품과의 수익률 비교 척도, 경제 상황 예측지표로도 이용됩니다.
증권거래소는 1964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다우 존스식 주가평균을 지수화한 수정주가 평균 지수를 산출하여 발표하였는데, 점차 시장규모가 확대되어 감에 따라 1972년 1월 4일부터는 지수의 채용 종목을 늘리고 기준시점을 변경한 한국 종합주가지수를 발효하였습니다.
그 뒤 시장 전체의 전반적인 주가 동향을 보다 정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1983년 1월 4일부터 주가지수 산출방식을 다우 존스식에서 주가에 주식 수를 가중한 시가총액식으로 변경하여 산출하며, 새로운 주가지수의 연속성을 고려하여 종합주가지수 및 산업별 주가지수는 1975년까지, 부별 주가지수 및 자본금 규모별 주가지수는 1980년까지 소급하여 산출, 발표하였습니다.
코스피지수는 증권 시장에 상장된 전 종목을 대상으로 산출되며, 산출 방법은 1980년 1월 4일을 기준시점으로 하여 이날의 종합주가지수를 100으로 정하고, 개별 종목의 주가에 상장 주식 수를 가중한 기준시점의 시가총액과 비교시점의 시가총액을 대비하여 산출합니다.
즉, 종합주가지수 = (비교시점의 시가총액)/(기준시점의 시가총액) x 100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한편, 유상증자, 신규상장, 전환사채의 주식 전환 등 일반적인 주가 변동 이외의 요인이 발생하여 시가총액에 증감이 생기는 경우에는 주가지수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준 시가총액을 수정하기도 합니다.

코스피지수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의 주식가격에 주식 수를 가중평균하여 시가총액식으로 산출한 지수이며, KOSPI라고 불립니다.
주식시장의 종합시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를 대표할 수 있는 지수가 필요했습니다.
이는 주가지수가 주가 동향, 예측, 투자 성과의 측정 등 다양하게 이용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2년 증권거래법 제정 이후 주식시장의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1964년 최초의 주가지수인 수정주가평균 지수가 발표되었는데, 이것이 코스피지수의 효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57년 증권시장에서 유통되는 증권의 83%는 국채로, 당시 증권시장은 국채 중심 시장이었기 때문에 이렇다 할 투자지표가 존재하지 않았었습니다.
그러나 1958년 1월 16일 국채 파동 이후 국채 중신의 증권시장은 주식 중심으로 전환되어 갔습니다.
그 결과 총 거래액 중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1960년 17%에서 1962년 99%로 일시적으로나마 급증하였습니다.

1962년 증권거래법 제정 이후 주식시장 규모가 확대되는 가운데 주식시장의 종합적인 시황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의 필요성이 대두되자 1964년 정부는 최초의 주가지수인 수정주가평균 지수를 발표하였습니다.
수정주가평균 지수는 1963년 5월 19일부터 같은 해 12월 24일까지 17개 채용 종목의 주가평균을 100으로 발표한 지수로, 다우 존스 방식의 산출 방법을 적용하여 계산하였습니다.

1972년에는 기업공개촉진법이 제정되면서 주식발행시장이 본격적으로 성장하자 지수의 채용 종목을 늘리는 등 기존의 주가지수를 보완, 변경한 한국 종합주가지수인 KOSPI가 발표되었습니다.
한편, 산출방식을 기존의 다우 존스식 산출방식에서 현재의 시가총액식 산출방식으로 변경하기 시작한 것은 1983년의 일입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증권시장이 질적, 양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기존 다우 존스식 산출방식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으며, 국제적으로도 시가총액식 지수로 전환되는 추세였기 때문입니다.
코스피지수는 증권 선물거래소의 주가지수 명칭 변경 작업의 일환으로 한국 종합주가지수의 변경된 이름입니다.

코스피지수는 1980년 1월 4일의 시가총액을 분모로, 산출 시점의 시가총액을 분자로 하여 지수화한 것입니다.
종가 기준 코스피지수는 1980년 1월 4일 100포인트로 시작하여 점증하면서 2007년 10월 31일 2064.85 포인트를 기록하였습니다.
시가총액은 2007년 10월 2일 1,007조 2,580억 원에 달하여 사상 처음 1,000조 원이 넘었습니다.
2017년 6월 27일 기준 유가증권시장의 상장회사 수는 769개(2016년 말 779개)이고, 상장종목 수는 883개(2016년 말 896개)입니다.

'건강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쎌 크로스웨이브' 리뷰 (0) | 2022.05.31 |
---|---|
'옴므 강하다 왕선생' 리뷰 (0) | 2022.05.27 |
양도소득세란? (0) | 2022.05.23 |
0~12개월, 아기 발달 정도 (0) | 2022.05.23 |
터미타임이란? (0) | 2022.05.23 |
최근댓글